전체 글 163

Battery Consumption - Sample Testing -

2014년 쯤 진행 한 배터리 소모전력 측정 관련하여 진행하면서 만든 샘플 데이터 및 분석 내용들입니다. 기초적인 내용없이 진행을 하다보니 장비 연결 부터 측정, 결과 분석, 해결 제시 등등 부족했던 부분들이 많아서 참고가 될 수 있다면 좋겠다는 마음에 작성되었습니다. 해당 글은 단순히 참고용 및 교육용으로 사용되는 건 상관 없지만 상업적인 이용은 자제 부탁 드립니다. 전류 측정의 목적 단순히 장비를 이용하여 전류값이 몇 mAh 나왔다는 단순한 수치의 입력은 누구나 해당 장비의 Quick Guide만 보면 할 수 있는 일이다. 다양한 시나리오들로 얻은 전류 기록들을 바탕으로 현재의 전류 소모량 및 앞으로 개선 될 수 있는 소모량을 파악 할 수 있으면 진행중인 프로젝트에서 목표로 하는 Target Coun..

DSLA Srtting -MOS 장비 사용-

@ 해당 User Manual은 유니웍스의 내용을 재가공 하였습니다.(해당 업체의 요청에 의해 삭제 될 수 있습니다 >_ 프로그램 > Malden Electronics > Malden Tool 에서 DSLA IP Configuration을 실행DSLA IP Configuration에서 그림과 같이 Set IP address(no DHCP) 를 설정한 후 DSLA 시리얼 번호를 입력한 후 +를 클릭하여 Add함. 그리고 우측 IP Settinf에서 원하는 IP 주소를 입력, 입력 후 Apply 버튼을 누르면 DSLA에 IP가 입력되며 그림과 같이 진행 됨 2.2 Multi DSLA 노드 생성시작메뉴 > 프로그램 > Malden Electronics에서 Multi DSLA3.0 실행. 그림과 같이 초기화면이..

Shell 만져보기

Start shell QA의 test를 하다보면 shell을 사용 하기는 해야 한다.특히나 Android 를 사용한다면 adb shell이 필요하고 server를 사용해도 shell script를 짜야하고... 사실 나도 잘 모르므로 이 page를 통해 사용해 보도록 해야겠다.이글의 모토는 다음과 같다...나는 놀테니 너는 스크립트를 돌려라 (내가 스크립트를 짜줄께... ㅋㅋ) shell 편집기 사용하기shell 편집기는 일반적으로 vi를 사용한다. 리눅스 설치는 알아서 하시고 ㅎㅎshell 터미널(창)을 열면 바로 파일을 만들어 보도록 하자!! 실행 내용은 프로그래밍 입문의 기초Hello world이다!!! shell 터미널에 들어가면 $ 형태의 입력창이 나온다user는 $, admin은 #파일을 생성..

네트워크가 안될 때 -Firewall 확인-

가끔식 방화벽에서 막혀서 데이터가 나갈 수도, 받을 수도 없는 경우가 있다.그떄 그냥 네트워크 문제 인가? 하고 방관 하기에는 그렇기 때문에 최대한 이것 저것 손대 보는게 낫다고 난 생각한다. 예전에 방화벽으로 인해 네트워크 실패가 있었던 적이 있어서... netstat 를 이용한 확인 방법 [root@skptest21-86d38e53-6da1-4a4c-b38d-eb74a0518f45 network-scripts]# netstat -nr > 으로 변경을 시도 한다netstat -ant >> 지금 열려있는 포트를 확인 하는 명령어해당 포트에서 tcp 포트가 열렸는지 먼저 확인을 한뒤 서버로 연결이 되는지 아닌지 확인이 가능하다.

Mac에서 Eclipse Setting

Mac을 초기화 한 뒤에 Eclipse를 설치하면 꼭 단축키들이 안보인다 ;;;그래서 설치 후에는 Setting이 필수!! 맨날 까먹기에 여기에다가 끄적끄적..ㅎ Mac에서 Eclipse 자동완성 변경하기 windows에서 eclipse 사용시에는 ctrl+space 를 누르면 자동완성이 되지만 Mac에서는 spotlight 기능이 실행된다. 그래서 alt+space로 바꿔서 사용해보자 Mac에서 command+3을 누르면 Quick access를 누르고 key라고 검색해 보자 그러면 Preferences 가 보이고 선택 누르면 Preferences 창이 뜬다 space를 검색하면 Content Assist 쪽에 ^Space 가 있는데 Binding에 마우스를 둔 뒤 Alt+space를 누르면 변경 완료..

Google Analysis -세미나 참석-

내가 Google Analysis를 언제 써볼지는 모르겠지만 당시 다니던 회사에서 관련 세미나가 있어서 참석 해 보았다.생각보다 무료 주제에? 나름 파워풀 하고 관리가 수월해 보여 앞으로도 많은 사람들이 이 제품을 쓰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Data AnalyticsintroWeb log분석 toolsAPP 연동 이후 DUT에서도 분석 가능 (Defect 결함 분석)분석에 대한 예게임에 대한 분석Login 으로 부터 최종 Stage까지에 대한 usr entry 분석, Funnel chart (차트등으로 분석)flow diagram등으로 분석가능, overlay 확인 가능매출에 대한 분석교집합 분석, 크로스 데이터 분석 각각의 구성Account > Property > View (상위 구성으로 생각하..

Unique Device ID

사용자 인증을 위해서 Client 단에서 어떠한 ID 값을 이용해 기존에 사용된 적이 있는지 혹은 새로운 사용자인지 판단하는 기준을 만들고 한다.일을 해보니 그 판단 기준을 개발 정책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어떤 경우에는 하나, 혹은 아예 없거나 또는 다수의 ID를 통해 판단 하곤 한다.Unique한 ID는 결국 정책을 정하는 사람들의 마음이므로… 대신 그 판단에 도움을 줄수 있는 정보 정도만 미리 알아두는것도 나쁘지 않을것 같다.Android ID: Android 단말에 고유한 ID를 부여해주지만 만약 Factory reset을 하게 된다면 ID가 변경되므로 Unique 하지 않을 수 있다.MSISDN, UICC: 유심기반으로 폰번호를 식별하기 때문에 유심이 기준이 된다면 Unique한 ID 이겠지만 ..

개발 및 테스트 환경 구성

개발을 위해서는 각각의 환경을 구성하는데…사실 그동안 그런 부분에 대한 생각이 없었다. Project를 겪다보니 환경을 파악해야 왜 이런 환경이 필요하고 어떤식으로 Plan을 짜야 할지 생각을 하게 되는것 같다.Server 환경 구성은 Local, Dev, QA, Staging, Production 정도로 구성이 되는 것 같다. 각자 개발과정의 목적 및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시스템의 크기도 조금씩 다르다. (물론 모두 동일 하게 하면 좋지만 결국에는 비용문제다.) Local Env.– 각 개발자 별로 PC에 개발환경을 Setup한다고 생각 하면된다.보통은 PC에 Eclipse, MySQL, Tomcat, 기타 개발툴 등등등… – 일반적으로 모든 개발자들이 동일한 Local환경을 가져야 나중에 삽실을 안하..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