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QA Engineering/Server API Test 14

mac으로 ssh 접속

아무래도 맥보다 윈도우를 더 오래 써서...맥으로 ssh를 붙으려면 늘 까먹는데...-_-;; 기본 terminal로도 충분히 접근 가능하다.지금 Project는 AWS를 사용 하기 떄문에 key pair가 되어야 한다. 우선 PEM key 설정부터... PaulJeoungui-MacBook-Pro:PEM byoungow$ chmod 400 mck-infra.pem PaulJeoungui-MacBook-Pro:PEM byoungow$ chmod 400 telkomsel.pem 우선 PEM key 설정부터이렇코롬 권한을 주고 난 뒤 ssh 로 접속 (사전에 key의 위치는 알아 둘것.) /Users/byoungow/Downloads/PEM PaulJeoungui-MacBook-Pro:PEM byoungow..

Secure CRT pub setting

Server Log 확인을 위해 Secure CRT Click!! AWS 접속 하려 했더니 public key로 접속을 해야 한다.. 이상하게 할 때마다 제대로 안되고 삽질 하는 경우가 많아서 ㅠㅠ 정리를.... 우선 Connect 에서 신규로 접속할 Session을 추가 한다. 밑의 화면과 같이 New Session 추가 마법사가 보이고나는 SSH2로 접속 선택, 그리고 다음 Host name에 접속할 주소를 입력한다. AWS 긴 주소도 상관 없고192.168... 이런것도Port는 22번방화벽 설정은 None으로 선택 (뭐로 할지 모른니까...)Username은 기존에 만들어진 걸로... Session name 이랑 자세한 설명을 입력=_=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ㅋㅋ 다음과 같이 만들면 다음에는 마..

Network Simulation Tools

서버 성능 관련 시험을 위해서 보통 Simulator 툴을 만들거나 혹은 Test script를 짜 놓고 테스트 하게 된다.일반적으로 Load, Stress, 대량 접속 등 다양한 시험을 진행 하는데 Network configuration에 대한 이해와 Linux 사용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이 있어야 사용 및 분석이 쉬운편이다~ Server Simulator Tools Simaulator tool을 사용하기 위해서 x shell이라는 SSH 프로그램을 통해서 동작/제어가 가능하다.대부분의 툴은 다음과 같이 Handling이 가능한거 같다. 1. 접속하기 위한 서버를 선택 한 뒤 마우스를 우 클릭 하여 등록 정보에 진입 한다 2. 프록시 설정에 들어간 뒤 프록시 서버를 선택 해야 하는데 만약 미리 설정된 값..

네트워크가 안될 때 -Firewall 확인-

가끔식 방화벽에서 막혀서 데이터가 나갈 수도, 받을 수도 없는 경우가 있다.그떄 그냥 네트워크 문제 인가? 하고 방관 하기에는 그렇기 때문에 최대한 이것 저것 손대 보는게 낫다고 난 생각한다. 예전에 방화벽으로 인해 네트워크 실패가 있었던 적이 있어서... netstat 를 이용한 확인 방법 [root@skptest21-86d38e53-6da1-4a4c-b38d-eb74a0518f45 network-scripts]# netstat -nr > 으로 변경을 시도 한다netstat -ant >> 지금 열려있는 포트를 확인 하는 명령어해당 포트에서 tcp 포트가 열렸는지 먼저 확인을 한뒤 서버로 연결이 되는지 아닌지 확인이 가능하다.

728x90
반응형